독서

고령화 시대의 경제학

권용환 2017. 5. 29. 18:54

고령화 시대의 경제학

고령화 시대의 경제학
국내도서
저자 : 조지 매그너스(George Magnus) / 홍지수역
출판 : 부키 2010.12.31
상세보기


이 책은 세계 여러 나라가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어떤 식으로 대응했는지, 또 그 대응들이 어떤 결과가 되었는지, 현재 어떤 상황인지, 등 다방면에서 접근을 한 책이다. 


우선 개인적으론 저출산 고령화가 발생된 원인은 기술의 발전에 따른 시대의 흐름이 아닐까 생각한다. 기술이 발전하며 인류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교육받는 고학력 인구가 많아지며 아이를 낳아 행복한 가정을꾸리기 보단 자신의 꿈을 이루길 원하며 저출산화 되었고,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평균 기대 수명이 길어져 노인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물론 다른 원인도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것을 이야기할 수 없어서 넘어가도록 하겠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부분은 2세대, 3세대가 지났을 때, 즉 큰 인구의 사이클이 돌았을 때는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는 대목이었다. 이 부분이 특히 기억에 남았던 이유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세상이 변화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기술이 발전하며 일자리가 감소하고 그것에 맞게 인류가 감소하는 것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물론 이런 생각에서도 현재 젊은 세대가 맞닥뜨릴 고령화 사회에 요구하는 사회적 비용에 대한 문제는 필연적으로 만나게 될 것이다. 

고령화 사회를 현명하게 타개하기 위한 여러 대안도 많이 나왔다. 그중에서 가장 불가능이라 생각하는 것은 이민과 통일을 통한 해결법이었다. 반대로 가장 괜찮다 생각한 방법은 연금 구조의 개선과 노인 일자리 증가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저출산 고령화라는 문제를 다양한 방면에서 접해보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혹여나 우리나라에서의 저출산 고령화를 알아보고 싶은 분들에게는 추천하지 않는다.